Surprise Me!

[더깊은뉴스]도심 속 ‘유령 아파트’ 느는 까닭

2018-02-21 9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이 대도시들이 수십년 뒤 없어진다면 믿기십니까. <br> <br>인구가 계속 줄고, 도심이 폐허가 되는 이른바 '도심 소멸'이 소리 없이 진행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최주현 기자의 '더깊은 뉴스'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도심에 깔리는 어둠. 그런데 불켜진 집은 손에 꼽힙니다. <br> <br>빈 집 옆에 또 빈 집. 도시가 사라지고 있습니다. <br><br>문은 뻘건 녹 투성이고, 곰팡이가 가득 핀 벽지엔 성한 곳이 거의 없습니다. 불과 10년 전만 해도 이 아파트엔 주민이 가득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어업과 조선업이 쇠락하면서 한두 가구 씩 떠나기 시작했고, 지금은 전체 250호 가운데 열세집에만 사람이 살고 있습니다. <br> <br>[조모 씨 (60세)/ 아파트 주민] <br>"(사람이) 이 정도로 없게된 게 한 3,4년 정도 밖에 안됐을 거에요. 젊은 부부도 이 집에 살았었고 학생들도 있었고…" <br> <br>집세가 싸서 머물고는 있지만 대부분 주민들은 하루 빨리 이곳을 뜨고 싶어 합니다. <br> <br>[조모 씨 (60세)/ 아파트 주민] <br>"(보증금) 200만원을 주고, (월세) 10만원을 주기로 했는데...험하니까 유령 아파트라고 이야기 한다해도 이상할 일이 아니라고 생각해요." <br><br>한 지역이 사라질 가능성을 보여주는 '소멸 위험 지수'를 측정해 봤습니다. <br> <br>2030 여성 수와 65세 이상 노령자 수를 비교해 그 비율이 0.5 아래로 떨어지면, 해당 지역은 30년 안에 없어질 곳으로 분류됩니다. <br> <br>결과는 충격적이었습니다. <br> <br>[이상호 박사 / 한국고용정보원] <br>"(영도구 신선동은) 전체 인구가 1만명인데, 2-30대 여성 인구는 890명 밖에 안돼요. 0.28이라는 숫자는 농어촌 지역에서도 낙후된 지역에 나타나는 숫자거든요." <br><br>인근의 부산 동구와 서구, 중구도 소멸 지수 0.5 안팎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><br>마흔 가구가 모여살던 이 아파트엔 90대 할머니만 남아 있습니다. <br> <br>[김봉선 (97) / 아파트 주민] <br>"무섭지, 무섭지만 어떡해. 아무것도 없는 곳에 누가 오겠어." <br> <br>젊은 사람들이 잇따라 떠나자, 다른 연령층 인구도 함께 줄어드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[부산 동구 공인중개사 사무소] <br>"(대부분 동구 아파트)가보면 거의 반은 비어있어요. 살 여건 자체가 안좋다는 거거든, 사람이 자꾸 나가는 거지. <br> <br>'도심 소멸'로 골머리를 앓던 부산시는 최후의 카드를 꺼내들었습니다. <br> <br>[박태성 / 부산시 원도심통합지원팀장] <br>"2022년 7월 1일 원도심 4개구를 통합하기로 합의한바 있습니다. 개구 역량만으로는 발전이 사실 어렵고 면적, 개발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…" <br><br>다른 대도시는 괜찮을까? <br> <br>서울 등 7개 대도시의 소멸 위험 지수를 비교해 봤습니다. 모두 소멸 단계에 들어섰거나, 진입을 눈 앞에 둔 상태였습니다. <br><br>대책은 없을까? <br> <br>[최주현 기자] <br>"빈집들이 몰려있는 골목길입니다. 관리가 안된 상태로 붙어있다보니, 한 사람이 겨우 빠져나갈 수 있는데요. 문제는 광주 도심 한 가운데에서 이렇게 소멸되는 지역을 쉽게 찾을수 있다는 겁니다." <br><br>지난 5년 간 인구가 만 명 넘게 줄어든 광주 동구의 소멸 지수는 0.58. 2030 여성 인구가 65세 고령 인구의 절반 수준에 불과합니다. <br><br>비상이 걸린 해당 지자체는 재개발과 재건축으로 맞불을 놨지만, 상황은 나아지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이문순·한승희 / 광주 동구 시민] <br>"공장이 있다든가 사후대책이 세워진 것을 발견할수 없거든요. (재개발이 돼도) 발전성이 낙후되어 있거든요." <br><br>광주광역시는 무려 44곳에서 재개발과 재건축을 계획했지만, 사업이 진행중인 곳은 10곳에 불과합니다. <br><br>[이명규 / 광주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] <br>"재개발, 재건축을 활발히 한다고 해도 원도심 자체가 가져야하는 기능이나 시스템을 제공해주지는 못합니다. 효과가 바로 눈에 띄지는 않는 정책이죠" <br><br>우리보다 먼저 도심 소멸 문제에 직면했던 일본은 어떻게 하고 있을까? <br> <br>한때 빈 집이 8백만채를 넘겼었지만 재개발이나 재건축 같은 임시방편 대신 일자리 창출을 통한 인구 유입 정책을 쓰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이상호 박사 / 한국고용정보원] <br>"취약 계층에 대한 일자리 전략과 결합되지 않고 그것이 도시 생활 환경 개선과 결합되지 않으면 토목적 접근만으로는 도시 소멸 문제는 해결하기 힘들 것입니다." <br> <br>설마설마 하는 도심 소멸, 안일하게 대응하면 30년 뒤에는 부산 영도도 광주 동구도, 그리고 당신의 도시도 없어질 수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 A 뉴스 최주현입니다. <br><br>최주현 기자(choigo@donga.com) <br> <br>연출 송민 <br>글·구성 지한결 이소연 <br>그래픽 이승훈

Buy Now on CodeCanyon